SMPL-X 모델은 기존 SMPL 모델(손이나 얼굴에 대한 detail이 떨어지는)에서 확장된 모델이다. 대량의 3D scan data로부터 얼굴과 손까지 포함한 새로운 body model을 구성하였다. 즉, 3가지 모델을 통합하였다. SMPL 모델 + FLAME(head model) + MANO(hand model) 더 내추럴한 결과를 볼 수 있다. joint names 목록은 다음 github에서 볼 수 있다. https://github.com/vchoutas/smplx/blob/main/smplx/joint_names.py SMPL-X 논문은 아래와 같다. https://arxiv.org/abs/1904.05866 Expressive Body Capture: 3D Hands, Face, and Bo..
Paper : https://arxiv.org/abs/2307.15880 Effective Whole-body Pose Estimation with Two-stages Distillation Whole-body pose estimation localizes the human body, hand, face, and foot keypoints in an image. This task is challenging due to multi-scale body parts, fine-grained localization for low-resolution regions, and data scarcity. Meanwhile, applying a highly e arxiv.org GitHub : https://github...
Paper : https://arxiv.org/abs/2303.14189 FastViT: A Fast Hybrid Vision Transformer using Structural Reparameterization The recent amalgamation of transformer and convolutional designs has led to steady improvements in accuracy and efficiency of the models. In this work, we introduce FastViT, a hybrid vision transformer architecture that obtains the state-of-the-art latency arxiv.org GitHub : htt..
Project page : https://motion-x-dataset.github.io/ Motion-X: A Large-scale 3D Expressive Whole-body Human Motion Dataset We propose Motion-X, a large-scale 3D expressive whole-body motion dataset. Existing motion datasets predominantly contain body-only poses, lacking facial expressions, hand gestures, and fine-grained pose descriptions. Moreover, they are primarily collecte motion-x-dataset.git..
https://github.com/isarandi/poseviz GitHub - isarandi/poseviz: 3D Human Pose Visualizer for Python 3D Human Pose Visualizer for Python. Contribute to isarandi/poseviz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얼마 전 현재 Grepp 이라는 회사의 CTO로 계시는 한기용님 강연을 들었다. 한기용님은 컴퓨터공학 학, 석사를 마치고 삼성에서 일하시다가 미국으로 넘어 가신 후 스타트업 창업도 해보시고, 야후에서도 일하시고, 여러 경험들이 많으신 분이다. 예전에 어떤 강연을 보다가 알게되어 그 뒤로 계속 글들을 팔로우업 하고 있는데, 이번 기회에 들은 강연에서 인상 깊게 들은 이야기들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이상적인 커리어는 무엇일까? 다수의 개발자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커리어 경로는 개발을 손에서 떼지 않고, 새로운 기술을 계속해서 배우고 싶다고 생각한다. 한기용님이 생각하시는 이상적인 커리어는 기술 지향적인 사람이 되지 말자는 것이었다. 중요한 것은 결과 지향적인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것. 결과 지향적인 사람이란? ..
며칠 전 Google Campus Talk Series에서 진행된 구글 UX Design Lead로 일하고 계시는 김은주님의 커리어 관련 강연을 듣게 되었다. 은주님은 생각이 많은 서른살에게 라는 책의 저자이기도 하다. 나는 처음에 이 책을 통해 처음에 은주님을 접하게 되었고, 은주님이 블로그에 올려주시는 커리어 노트들을 보고 많은 영감을 얻고 있다. 이번 강연에서는 커리어, 성장, 도전 이라는 주제로 진행이 되었고, 은주님이 커리어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쌓아올렸는지, 많은 것을 이루기 위해서 필요한 철칙이 무엇인지, 워커홀릭 또는 완벽주의자가 경계해야하는 것들 등의 좋은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는 값진 기회였다. 그 중 가장 기억에 남았던 것은 이렇게 많은 것을 이루기까지는 (UX Design Lead, ..
개인의 성장을 끌어 올릴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바로 컴포트 존(Comfort Zone)을 벗어나는 것이다. 컴포트 존은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느끼는 영역을 의미하며, 익숙한 업무를 계속해서 진행하거나, 새로운 자극이 없는 환경이나 상황을 의미한다. 이러한 컴포트 존은 좋다 및 나쁘다를 판가름 할 척도는 절대 아니며, 개인의 가치관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성장과 발전을 추구하지 않는 사람에게 컴포트 존은 예측 불가능한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안전한 상태에 머물러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컴포트 존을 만들어가는 것을 추천 드린다. 하지만 이 컴포트 존은 성장과는 거리가 멀다. 성장과 발전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컴포트 존은 독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과감하게 이를 벗어나는 노력이..
얼마 전 현재 Grepp 이라는 회사의 CTO로 계시는 한기용님 강연을 들었다. 한기용님은 컴퓨터공학 학, 석사를 마치고 삼성에서 일하시다가 미국으로 넘어 가신 후 스타트업 창업도 해보시고, 야후에서도 일하시고, 여러 경험들이 많으신 분이다. 예전에 어떤 강연을 보다가 알게되어 그 뒤로 계속 글들을 팔로우업 하고 있는데, 이번 기회에 들은 강연에서 인상 깊게 들은 이야기들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이상적인 커리어는 무엇일까? 다수의 개발자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커리어 경로는 개발을 손에서 떼지 않고, 새로운 기술을 계속해서 배우고 싶다고 생각한다. 한기용님이 생각하시는 이상적인 커리어는 기술 지향적인 사람이 되지 말자는 것이었다. 중요한 것은 결과 지향적인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것. 결과 지향적인 사람이란? ..
리눅스에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를 정리해보았다. ls (List segments) 현재 위치의 파일 목록 조회하기 위해 사용 ls -l : 파일의 상세정보 ls -a : 숨김 파일 표시 ls -t : 파일들을 생성시간순(제일 최신 것부터)으로 표시 ls -rt : 파일들을 생성시간순(제일 오래된 것부터)으로 표시 ls -f : 파일 표시 시 마지막 유형에 나타내는 파일명을 끝에 표시 ('/' : 디렉터리, '*' : 실행파일, '@' : 링크 등등,,,) cd (Change directory) 디렉터리 이동할 때 주로 사용하는 명령어 cd 디렉터리 경로 : 이동하려는 디렉터리로 이동 cd ~ : 홈 디렉터리로 이동 cd / : 최상위 디렉터리로 이동 cd . : 현재 디렉터리 cd .. : 상위 디렉터리..
SMPL-X 모델은 기존 SMPL 모델(손이나 얼굴에 대한 detail이 떨어지는)에서 확장된 모델이다. 대량의 3D scan data로부터 얼굴과 손까지 포함한 새로운 body model을 구성하였다. 즉, 3가지 모델을 통합하였다. SMPL 모델 + FLAME(head model) + MANO(hand model) 더 내추럴한 결과를 볼 수 있다. joint names 목록은 다음 github에서 볼 수 있다. https://github.com/vchoutas/smplx/blob/main/smplx/joint_names.py SMPL-X 논문은 아래와 같다. https://arxiv.org/abs/1904.05866 Expressive Body Capture: 3D Hands, Face, and Bo..
육각형 개발자라는 최범균 저자가 집필하였으며, 본인의 이야기를 시작으로 내용이 시작된다. 이 책은 좋은 시니어 개발자가 되길 원하는 주니어 또는 중니어 개발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아래 6가지를 두루 다 갖춘 개발자를 칭하는데 이러한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 덕목 10가지를 소개하고 있다. 에세이와 자기계발서에 가까운 책이다. 1. 구현 기술 2. 업무 관리, 공유, 리드 & 팔로우 3. 리펙토링, 테스트 4. 응집도, 결합도 5. 아키텍처, 패턴 6. 품질, 코드 이해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은 효율적으로 구현 기술을 적용하고 학습하는 방법, 소프트웨어 가치를 이해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낮추는 방법, 이해하기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법, 높은 응집도 + 낮은 결합도 원칙으로 설계하는 방법, 변경..
Paper : https://arxiv.org/abs/2307.15880 Effective Whole-body Pose Estimation with Two-stages Distillation Whole-body pose estimation localizes the human body, hand, face, and foot keypoints in an image. This task is challenging due to multi-scale body parts, fine-grained localization for low-resolution regions, and data scarcity. Meanwhile, applying a highly e arxiv.org GitHub : https://githu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