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한빛미디어에서 출간된 개발자를 넘어 기술 리더로 가는 길은 내가 감명 깊게 읽은 책 "개발 7년차, 매니저 1일차"의 저자가 쓴 책이다. 또한 한 원서를 김그레이스라는 분이 번역했는데, 이 분은 커리어리에서 킴코더 이름으로 코딩, 개발과 관련된 노하우를 많이 공유해주면서 활동하시는 분이다. 평소에 이 분의 글을 자주 보곤 했는데, 이렇게 책으로 나오게 되니 더 읽고 싶어졌다.

 

개발자라면 앞으로 매니저 트랙을 탈 것인지, 기술 리더의 트랙을 탈 것인지를 결정해야 하는데, 이 책은 그 결정을 함에 있어서 길잡이를 해주는 책이다. 개발자라면 언젠가 한번은 꼭 결정해야하는 일이고, 이 두 가지 길의 성격은 매우 다르다. 매니저의 길은 명확하게 의사소통하고, 동료들이 더 나은 일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반면 기술 리더, 즉 스태프 엔지니어 같은 경우에는 기업마다 스태프 엔지니어 직급에 대한 기대치가 모두 다르고,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명확한 기준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빅 픽처 관점의 사고력', '성공적인 프로젝트 실행력', '조직 차원의 레벨업' 이라는 세 개의 주제를 가지고 스태프 엔지니어의 역할을 설명한다. 

 

스태프 엔지니어는 매니저가 아니라 리더 역할을 맡게 되며, 매니저와는 다른 방식으로 팀원들을 이끌어나간다. 이러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하는 동시에 그간 쌓아온 기술 경력 및 경험에서 나오는 실력과 직감이 필요하다. 기술 전문 엔지니어이기 때문에 우수한 엔지니어링이 무엇인지 잘 알고 있어야 한다. 또한 기술 전문가로서 조직이 올바른 기술 방향을 설정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역할이다. 

 

특히나 업무 범위를 설정할 때 지나치게 넓은 업무 범위를 설정하게 되면 성취감도 목표도 없는 잡일들로 끝날 수 있으며, 의사 결정을 하느나데 피로감이 몰려온다. 또한 일을 쉽고 즐겁게 하려면 다른 팀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야하는데, 너무 많은 팀과 협력하게 된다면 이러한 관계를 유지하기가 어려워진다. 

 

반면 너무 좁은 업무 범위를 설정할 경우, 스태프 엔지니어의 전문성이 필요하지 않은 부분에 시간을 낭비해버릴 수 있다. 스태프 엔지니어의 스킬 역량은 수요처가 넘쳐난다. 이러한 상황에서 만약 개별 팀에 배정된다면 팀보다 훨씬 규모가 큰 조직 내의 다른 문제보다는 팀에 관련된 문제를 최우선으로 해결하게 될 수 있다. 즉, 수요처는 넘쳐나는데 기회비용을 낭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업무 범위를 너무 좁게 설정해버리면 경력이 적은 엔지니어들이 스태프 엔지니어의 그늘에 가려지고, 배움의 기회를 빼앗기는 등 다른 엔지니어들의 성장을 방해하는 환경이 만들어질 수 있다고 한다. 

 

이렇듯 스태프 엔지니어들은 본인이 발휘할 영향력의 범위와 같은 업무 분야를 명확하게 해야하고, 시간은 한정되어있기 때문에 중요한 일, 시간을 낭비하지 않는 주요 초점을 잘 선택해야한다. 그리고 본인의 일이 무엇인지 논의하고, 이에 대한 매니저의 생각은 어떤지, 무엇이 가치있고 유익한지에 대해서 함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이 책이 원서라서 한국 IT 문화에 초점이 맞춰지진 않았지만, 공통된 내용은 여럿 있고, 앞서 언급한 스태프 엔지니어의 3가지 역할에 맞춰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는 방법을 설명해놓았기 때문에 개발자들이 거쳐나갈 앞으로의 방향에 대한 여러가지 견해를 제시하고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는 책이다. 

 

 

“한빛미디어 <나는 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728x90
반응형